본문 바로가기
신화, 역사 관련/한국의 역사이야기

온조와 비류, 백제를 건국한 사람은 누구인가

by 은색꿀벌 2021. 2. 19.
반응형

썸네일 - 온조와 비류, 누가 백제를 세웠나

과연 백제를 건국한 사람은 온조일까? 삼국사기에는 비류가 백제 건국 시조라는 설도 있다고 전한다. 비류의 백제 건국설에서는 온조와 비류의 아버지가 주몽이 아니라 우태라는 해부루의 서손이라고 한다. 과연 온조와 비류의 아버지는 누구이며 백제 건국 시조는 누구인지 생각해보자. 

 

 

 삼국사기의 온조왕 설화

백제의 시조는 온조왕()이다. 그의 아버지는 추모() 혹은 주몽()이라고 한다. 주몽은 북부여()에서 난리를 피하여 졸본부여()로 왔다. 졸본부여 왕은 아들은 없고 딸만 셋이 있었는데, 주몽이 뛰어난 인물임을 알고 둘째 딸을 그의 아내로 삼았다. 얼마 후 부여왕이 죽고 주몽이 왕위를 이었다. 주몽이 아들 둘을 낳았는데, 맏이는 비류()이고 둘째는 온조이다.[혹은 주몽이 졸본에 이르러 월군(越郡)의 딸에게 장가를 들어 두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낳은 아들이 찾아와서 주몽이 그를 태자로 삼았다. 비류와 온조는 태자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여 오간(), 마려() 등 10명의 신하들과 남쪽으로 떠났는데 따르는 백성이 많았다. 드디어 한산()에 이르러 부아악()에 올라 살만한 땅을 찾아보았다.

비류가 바닷가에 거처를 정하려고 하자 열 명의 신하가 말하였다.
“이 하남의 땅은 북쪽으로는 한수(, 한강)가 흐르고, 동쪽으로는 높은 산이 둘러있고, 남쪽으로는 비옥한 들판을 바라보고, 서쪽으로는 큰 바다로 가로막혀 있으니 얻기 어려운 요새라 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 도읍을 정하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비류는 듣지 않고 백성을 나누어 미추홀()로 가서 살았다.

온조는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10명의 신하를 보필로 삼고 나라 이름을 십제()라고 하였다. 이때가 전한() 성제() 홍가() 3년(기원전 18) 이었다. 비류는 미추홀의 땅이 습기가 많고 물이 짜서 편안히 살 수가 없었다. 위례성으로 와서 도읍이 안정되고 백성들이 편안히 지내는 것을 보고는 후회하다가 죽었다. 비류의 백성들이 모두 위례성으로 돌아왔다. 온조가 처음 올 때 백성이 즐겨 따라왔기 때문에 나라 이름을 백제()로 고쳤다. 온조의 조상은 고구려와 같이 부여에서 나왔으므로 성씨를 부여()로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조 온조왕 [始祖溫祚王]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2012. 8. 20., 김부식, 박장렬, 김태주, 박진형, 정영호, 조규남, 김현)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온조의 백제 건국 설화다. 비류와 온조의 아버지는 주몽이라고 나와있으며 어머니의 이름은 쓰이지 않았다.

  • 주몽이 비류나 온조가 아닌 북부여에 있을 때 낳은 아들인 유리에게 왕위를 물려주자 비류와 온조가 남쪽으로 내려와서 각자 자리를 잡고 지낸다.

  • 비류는 지금의 인천인 미추홀에 자리를 잡았고, 온조는 지금의 서울 송파구인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했지만 비류가 죽고난 뒤 비류의 세력을 합쳐 나라를 세우고 '백제'라고 불렀다.

 비류왕 설화

일설에는, 시조는 비류왕인데, 그 아버지 우태()는 북부여왕 해부루()의 서손()이고, 어머니 소서노(西)는 졸본()사람 연타발()의 딸이다. 소서노가 우태에게 시집가서 아들 둘을 낳았는데, 맏아들이 비류이고 둘째가 온조였다. 우태가 죽자 졸본에서 과부로 살았다. 그 후 주몽이 부여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하자 전한 건소() 2년(기원전 37) 봄 2월에 남쪽으로 달아나 졸본에 이르러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 하고 소서노를 왕비로 삼았다. 나라를 세우는 데 소서노의 내조가 많았기 때문에 주몽이 그녀를 매우 사랑했고 비류와 온조를 자기의 친아들처럼 대하였다. 주몽이 부여에 있을 때 예씨()와의 사이에 낳은 유류()가 오자, 태자로 삼아 왕위를 잇게 하였다. 그래서 비류가 동생 온조에게 말하였다.

“처음에 대왕께서 이곳으로 도망해 왔을 때, 어머니는 집안의 전 재산을 내놓아 나라의 기틀을 다지는 데에 공이 많았다. 대왕이 돌아가시고 나라는 유류에게 돌아갔으니 우리가 여기 남아 답답하게 지내기보다는 어머니를 모시고 남쪽으로 가서 좋은 땅을 찾아 따로 나라를 세우는 것이 낫겠다.”

그리고는 동생과 함께 무리를 거느리고 패수(浿)와 대수() 두 강을 건너 미추홀에 와서 살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북사()』및 『수서()』 모두에는 ‘동명()의 후손 구태()가 있는데 어질고 신의가 있다. 처음으로 대방()의 옛 땅에 나라를 세웠다. 한의 요동태수() 공손도()가 그의 딸을 아내로 주어 드디어 동쪽 나라의 강국이 되었다.’고 하였다. 어느 쪽이 옳은지 모르겠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조 온조왕 [始祖溫祚王]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2012. 8. 20., 김부식, 박장렬, 김태주, 박진형, 정영호, 조규남, 김현)

  • 비류왕 설화에서는 첫 줄부터 비류가 백제의 시조라고 적혀있다.

  • 온조 설화와는 다르게 비류와 온조는 주몽이 아닌 우태의 아들들이라고 한다.

  • 어머니의 이름도 적혀있는데 졸본 사람 연타발의 딸 소서노라고 전한다. 그리고 소서노는 남편이 죽자 주몽과 재혼을 한 것으로 나오며, 비류와 온조가 고구려에서 나올 때 어머니를 모시고 나오는 것으로 적혀있다.

  • 비류와 온조는 따로 나뉘지 않았으며 미추홀에서 같이 살았다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형인 비류가 왕의 역할을 하여 백제 시조는 비류왕이라고 첫 줄에 적은 듯싶다.

 

 

 온조 설화와 비류 설화 어떤 것이 진짜일까?(개인적인 의견이 많이 들어가 있음)

  • 결론부터 말하자면 둘 다 사실이 아닌 숭조( 崇祖) 작업의 결과이다.

  • 비류와 온조는 주몽의 아들이 아니며 졸본부여 왕의 딸의 아들들도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 우태 또한 해부루의 서손이 아니라 그냥 부여나 고구려 쪽에 살던 사람으로 생각된다.
  • 비류와 온조는 형제가 아닐 수도 있으며 나중에 숭조 작업을 하던 도중 형제로 얽히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 학계에서는 '왕실 교체론'이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진다고 한다. 비류 세력이 만든 설화와 온조 세력이 만든 설화가 둘 다 전해져 내려오면서 알 수 없게 돼버린 것이다. 

  • 백제의 역사는 근초고왕 대에 처음으로 작성되었는데 몇백 년이 지난 후라서 제대로 정리하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 비류와 온조는 왕족이 아닌 그냥 고구려나 부여땅에서 내려온 세력들이라는 결론이다. 

 

앞으로 더 많은 것이 밝혀지지 않는 이상 온조왕의 백제 건국 시조로 이어질 것 같다.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백제 건국의 이야기는 어떤 것인지 궁금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