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 역사 관련/한국의 역사이야기

신라의 시조 혁거세

by 은색꿀벌 2021. 2. 14.
반응형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혁거세의 탄생 설화

삼국사기 제1권 신라본기 제1의 내용 중 혁거세의 탄생 설화이다.

시조의 성은 박씨, 이름은 혁거세(赫居世)이다. 전한(前漢) 효선제(孝宣帝) 오봉(五鳳) 원년 갑자(기원전 57) 4월 병진[정월 15일 이라고도 한다.]일에 왕위에 올랐다. 왕호는 거서간(居西干)이다. 이때의 나이는 열세 살이었으며 나라의 이름은 서라벌이었다.

이에 앞서 조선()의 유민들이 산골에 나뉘어 살면서 여섯 개의 마을을 이루고 있었다. 첫째는 알천()의 양산촌()이라 하고, 둘째는 돌산()의 고허촌()이라 하고, 셋째는 취산()의 진지촌()[혹은 간진촌(干珍村)이라고도 한다.]이라 하고, 넷째는 무산()의 대수촌()이라 하고, 다섯째는 금산()의 가리촌()이라 하고, 여섯째는 명활산()의 고야촌()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진한() 6부가 되었다.

고허촌의 촌장 소벌공()이 양산() 기슭을 바라보니 나정() 옆의 숲 사이에 말이 무릎을 꿇고 앉아서 울고 있었다. 곧장 가서 보니 말은 보이지 않고 다만 커다란 알이 있었다. 그것을 쪼개자 속에서 어린아이가 나왔기에 거두어 길렀다.

나이 십여 세가 되자 뛰어나고 영리하며 몸가짐이 조신하였다. 6부의 사람들이 그의 출생을 신비롭고 기이하게 여겨 높이 받들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임금으로 삼은 것이다. 진한 사람들은 박[, 조롱박]을 ‘박()’이라고 하였는데, 처음의 커다란 알이 마치 박의 모양과 비슷하게 생겼으므로 그의 성을 ‘박’으로 한 것이다. 거서간은 진한의 말로 임금을 뜻한다.[혹은 존귀한 사람을 칭하는 말이라고도 한다.]

왕비의 설화이다.

5년(기원전 53) 봄 정월, 알영() 우물에 용이 나타나 오른쪽 옆구리로 여자 아이를 낳았다. 노파가 이를 보고 남다르다 여겨 거두어 길렀는데, 우물 이름으로 아이의 이름을 지었다. 자라나 덕성스러운 용모를 갖추었으니, 시조가 이를 듣고 왕비로 삼았다. 그녀는 행실이 어질고 내조를 잘하였으므로, 당시의 사람들이 임금과 왕비를 두 사람의 성인이라 일렀다.

 

 혁거세는 어디에서 온 인물일까?

  • 진한 지역의 여섯 개의 마을은 조선의 유민들이 산골에 나뉘어 살고 있다고 했다.

  • 고조선의 유민들이 내려와 각자의 세력끼리 뭉쳐 6개의 마을로 흩어져 살고 있었다.

  • 어떤 이유에 의해서 6부가 합쳐져 큰 세력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 왔던 것일까?

  • 여섯 촌장들은 혁거세라는 새로운 인물을 거서간으로 추대한다. 

  • 마을을 칭할 때 처음 나온 알천의 양산촌이 가장 큰 세력으로 보인다.

  • 고허촌은 두번째로 큰 세력으로 보이는데 고허촌의 촌장 소벌공이 양산 기슭의 나정에서 알을 찾았다는 것으로 보아 혁거세는 양산촌의 인물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 혁거세가 다른 지역에서 왔다는 설도 있는데, 13세에 거서간이 된 것으로 보아 양산촌 출신이라는 설이 가장 맞는 듯싶다.

 마치며

혁거세의 설화를 보면 부여의 금와왕의 신화와 많이 닮아있다. 물가 근처인 것도 그렇고 말이 울고 있었다는 점 또한 그렇다. 그리고 고구려의 주몽(추모)도 알에서 태어난다. 어디에서 설화가 먼저 시작된지는 모르겠지만 그 당시에 알에서 태어나는 것이 엄청나게 신비롭고 고귀한 일이었지 않나 생각해본다. 우리나라의 고대사를 공부하다 보면 자료가 너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래서 학계의 사람들마다 주장하는 내용도 다르고 해서 어지럽기까지 하다. 부디 더 많은 자료가 발견되어 풍성한 역사를 채워 넣을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