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국사기'에 나온 주몽(추모)의 탄생 설화
부여왕 해부루가 늙도록 아들이 없어 산천에 제사를 지내 대를 이을 아들 낳기를 기원하였다. 어느 날 그가 몰던 말이 곤연에 이르렀는데, 말이 그곳의 큰 돌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 임금은 이상하게 여겨 사람을 시켜 그 돌을 굴려보게 하니, 금빛 개구리 모양의 어린아이가 있었다. 해부루는 기뻐하며 "이 아이가 바로 하늘이 나에게 주신 아들이다."라고 하며 거두어 길러 이름을 금와라고 하고, 아이가 장성하자 태자로 삼았다.
훗날 재상인 아란불이 말하였다. "제가 하늘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하늘이 말씀하시길 '장차 내 자손에게 이곳에 나라를 세우게 할 것이니 너희는 피하라. 동쪽 바닷가에 가섭원이라는 땅이 있는데, 토양이 기름져서 오곡이 잘 자라니 도읍을 정할만하다.'라고 하였습니다." 아란불이 마침내 임금에게 권하여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게 하고, 나라 이름을 동부여라고 하였다.
그 옛 도읍지에는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없는 사람이 있었는데, 자칭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고 하면서 그곳에 도읍을 정하였다.
해부루가 죽자 금와가 왕위를 이었다. 이때에 금와는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한 여자를 발견하고, 그 여자의 내력에 대해 물었다. 그 여자가 말하였다. "저는 하백의 딸이고 이름은 유화입니다. 여러 동생들과 함께 나가 놀고 있었는데, 때마침 한 남자가 자칭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하면서 저를 웅신산 아래 압록강 가에 있는 집으로 유인하였습니다. 사사로이 정을 통하고 곧바로 가서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저의 부모는 제가 중매도 없이 남자를 좇았다고 꾸짖고, 마침내 우발수에서 귀양살이를 하게 하였습니다." 금와는 이상하게 생각하고 그녀를 방 안에 가두었다. 그녀에게 햇빛이 비추었고, 그녀가 몸을 당겨 피하면 햇빛이 또 따라와서 비추었다. 이로 인해 임신을 하여 다섯 되쯤 되는 크기의 알 하나를 낳았다. 임금은 그 알을 버려 개와 돼지에게 주었으나 모두 먹지 않았다. 또다시 길 가운데 버렸으나 소나 말이 피하고 밟지 않았다. 나중에는 들에 버렸으나 새가 날개로 그것을 덮어주었다. 임금은 그것을 쪼개려고 하였으나 깨뜨릴 수가 없어 마침내 그 어머니에게 돌려주었다. 그 어머니가 그것을 감싸서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한 사내아이가 껍질을 깨뜨리고 나왔다. 그 아이는 골격과 외모가 빼어나고 기이하였고, 나이가 겨우 일곱 살이었을 때에 다른 아이들보다 훨씬 성숙하였다. 손수 활과 화살을 만들었고, 쏘기만 하면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의 속담에 활을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 하였으므로 이를 아이의 이름으로 삼았다고 한다.
간단하게 줄이자면 이렇다.
- 부여왕 해부루가 금와를 발견하여 아들로 삼음
- 재상 아란불이 도읍을 옮기길 권하여 가섭원이라는 곳으로 옮기고 동부여라고 칭함
- 해부루가 죽고 금와가 왕위를 이음
- 금와는 하백의 딸 유화를 발견하고 방 안에 가둬놓음
- 유화는 햇빛으로 임신을 하고 알을 낳음
- 금와가 그 알을 깨려고 하였으나 깨뜨릴 수 없어서 다시 유화에게 돌려줌
- 알이 깨지고 주몽이 태어남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 편
해동의 해모수는 천제의 아들이다. 고니를 탄 100여 인의 종자를 거느리고 하늘로부터 오룡거를 타고 채색 구름 속에 떠서 내려왔다. 성 북쪽에 청하가 있고 거기에 하백의 세 딸 유화, 훤화, 위하가 있었다. 해모수가 사냥을 갔다가 이들 세 미녀를 만나서 그중에 맏딸인 유화와 혼인하도록 해달라고 하백에게 간청하였다.
하백은 해모수의 신통력을 시험한 뒤에 그에게 신변이 있음을 알고 술을 권하였다. 하백은 해모수가 술이 취하자 유화와 함께 가죽 가마에 넣어서 하늘로 보내려 하였다. 그런데 술이 깬 해모수는 놀라서 유화의 비녀로 가죽 가마를 찢고 혼자 하늘로 올라가 돌아오지 않았다. 하백은 유화를 꾸짖으며 태백산 물속에 버렸다. 유화는 고기잡이에게 발견되어 북부여의 금와왕에 의하여 구출되었다.
유화는 뒤에 해모수와 관계하여 주몽을 낳았다. 주몽은 처음에는 되 크기만 한 알이었다. 금와왕은 상서롭지 않은 일이라 하여 마구간에 버렸다. 말들이 이것을 짓밟지 않아서 깊은 산속에 버렸더니 짐승들이 이것을 보호하였다. 알에서 나온 주몽은 골격과 생김새가 영특하여 자라면서 재주가 뛰어났다. 뒷날에 부여를 떠나 남으로 가서 비류국의 송양왕의 항복을 받고 나라를 세웠다. 이것이 고구려의 건국이다.
동국이상국집의 내용은 삼국사기와 비슷하지만 해부루가 등장하지는 않는다.
- 해모수가 유화와 결혼시켜 달라고 하백에게 가서 졸랐다.
- 하백은 해모수가 신통력이 짱짱하자 술에 취하게 한 후 유화와 같이 가죽 가마에 넣어서 보냄
- 해모수는 술이 깨고 놀라서 가마를 찢고 혼자서 하늘로 올라감 - 도대체 왜??
- 하백은 유화를 태백산 물속에 버림 - 두 번 버림받은 유화
- 유화는 금와왕에게 구출됨
- 갑자기 유화가 해모수와 관계하여 주몽을 낳음 - 갑자기 해모수가 다시 나타남
광개토대왕릉 비문
시조 추모왕께서 나라를 세우셨는데 북부여에서 나오신 천제의 아드님이었고 어머니는 하백의 따님이셨다.
삼국사기와 동국이상국집의 내용과는 다르게 주몽(추모)은 동부여가 아닌 북부여 출생으로 나온다.
삼국유사
천제의 아들이 흘승골성에 내려와 도읍을 정하고 왕이라 일컫고, 국호를 북부여라고 하고 스스로의 이름을 해모수라고 하였다. 아들을 낳아 부루라고 하고 해로써 씨를 삼았으며, 왕은 후에 상제의 명령으로 동부여로 도읍을 옮기고 동명제가 북부여를 이어가 졸본 주에 도읍을 정하고 졸본부여가 되었으니, 곧 고구려의 시조다.
삼국유사에서는 해모수가 북부여를 세웠으며, 해부루의 아버지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의 단군기를 더 살펴보자.
단군기에는 『단군이 서하 하백의 딸과 친하여 아들을 낳아 부루라 이름하였다』 하였는데, 지금 이 기사에는 해모수가 하백의 딸을 사통하여 뒤에 주몽을 낳았다고 한다. 그리고 단군기에 『아들을 낳아 부루라 이름하였다』하니 부루와 주몽은 이복형제일 것이다.
갑자기 해부루와 추모(주몽)가 이복형제가 되었다. 그런데 아버지가 다르고 어머니가 같으면 이복형제는 아니지 않나 싶은데 그건 잘못 썼다 쳐도 뭔가 순서가 이상하다.
과연 해모수는 실제 존재했던 인물이었을까 의문이 든다. 그리고 주몽(추모)은 광개토대왕릉비에 적힌 대로 북부여 출생이 맞는 것 같다. 아무래도 고려시대보다는 고구려 시대 사람들이 더 잘 알고 있지 않을까? 어쨌든 자료가 부족한 지금은 가설만 날로 늘어나는 것 같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