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 리뷰

KBS 스페셜 도자기 2부.바다의 실크로드 차이나 루트를 개척한 중국 자기와 최상품 고려청자 / 포르투갈 남아프리카 아랍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중국의 도자기 교역로

by 은색꿀벌 2020. 10. 28.
반응형

중국은 자기를 처음 만든 나라였다.

중동지역의 나라들은 중국의 자기를 모방하는데 노력을 했지만 흙과 온도의 한계를 넘지 못하였다.

 

송의 수도 카이펑은 50만명의 사람들이 사는 국제도시였다.

그당시 로마의 인구는 5만, 런던의 인구는 1만2천이었으니 엄청난 대도시였다는걸 알수 있다.

문화와 경제가 발달한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관료국가였다.

그 당시 서민들까지 차를 마시는 습관이 있었는데 도자기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유일한 나라였다.

 

 

송의 문화는 고려로 전해졌는데 고려는 세계에서 2번째로 자기생산을 하는 나라가 되었다.

중국의 청자를 만드는 기술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기술을 발달시켜 상감기법을 발명하였다.

 

일본에까지도 문화를 전파시켰는데 일본은 특히 차를 마시는 문화가 많이 퍼지게 되어 찻잔이 많이 쓰이게 되었다.

 

중국 용천에서 청자 기술의 완성을 이루게 되었다.

기술의 완성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도 하게 되었는데 1년에 천만개 이상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동지역의 상인들은 육료로 자기를 운송할때 진흙포장을 하고 도착하면 물에 진흙은 씻어 판매를 하였다.

하지만 육료로는 한계가 있어 선박을 이용해 운송을 하게된다.

선박으로 운송할때는 자기를 짚으로 포장하고 중간에 볍씨를 넣게 되는데 볍씨가 수분을 흡수하고 싹을 틔우면 충격완화의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배 1척당 낙타 2천마리의 물량을 운송할 수 있었으니 선박으로 운송을 많이 했을것 같다.

 

인도네시아 지역도 중국의 자기를 수입했는데, 아무래도 가격이 비싸서 서민들은 사용하기 힘들었을거 같다.

주로 주술사가 많이 사용했는데, 지금까지도 주술사의 모든 의식에는 자기를 사용한다고 한다.

그리고 약으로 먹는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아직까지 카스트제도가 있는데 한번 쓴 찻잔은 다른 계급이 이용하지 못한다.

한번 쓰고 버려야 해서 값이 싼 토기 찻잔을 쓴다. 

하지만 중국에서 온 청자는 고가라서 모래로 닦아 사용했다고 한다.

 

이란은 청자를 흉내내려고 노력을 많이 하였으나 고작 청색 유약을 바르는 것에 그친다.

 

아랍에미리트에서는 가격이 비싼 청자를 깨지면 구멍을 뚫어 다시 붙혀서 사용했다.

 

이집트 푸스타트에서는 70만점의 도자기 파편이 발굴되었는데 거의 중국 자기의 모방품이었다.

중국 자기도 12,000점이 발굴 되었다.

송나라의 자기는 비단보다 더 넓은 세계를 연결하였다.

 

youtu.be/f9fS76Yx__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