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정보/꿀팁, 상식

구독 경제의 시대. 어떻게 소비해야 할 것인가.

by 은색꿀벌 2021. 2. 17.
반응형

넷플릭스의 가입자가 전 세계적으로 2억 명이 넘어섰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가입자수가 폭발적으로 늘어 2020년에만 3700만 명이 늘었다고 한다. 지금 우리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침대, 비데, 자동차, 면도기, 향수, 술까지 생활의 모든 것을 구독하고 있다.

 

 3가지 유형의 구독 경제

구독 경제는 3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진다.

  1. 정기 배송 서비스 : 소모품을 고객이 원하는 기간마다 배송해주는 서비스. 가격 할인의 혜택이 있으며 소모품을 매번 구매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준다. 면도기, 향수, 우유, 반찬, 전통주 등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2. 렌털 서비스 : 주로 정기적으로 필터 교체나 점검 등이 필요한 제품을 많이 이용한다. 하지만 요즘에는 명품백이나 자동차, 가구, 가전기기 등 등치가 크고 유행을 타는 제품들의 서비스가 많이 늘고 있다.

  3. 무제한 이용 서비스 : 가장 많이 이용하는 모델로 음원 사이트나 넷플릭스와 같은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이다.

 구독 경제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구독 경제의 장점은 많은 경험을 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평소 갖고 싶었던 물건들을 비싸지 않은 이용료를 내고 바꿔가며 사용해 볼 수 있다. 다른 장점은 매번 소모품들을 체크해서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준다. 기술이나 사회가 발전할수록 사람들은 자신만의 시간을 더 가질 수 있는 곳으로 몰려간다.

  • 단점 : 단점은 뭐니 뭐니 해도 매달 나가는 이용료를 꼽을 수 있다. 넷플릭스를 구매하고 바빠서 한 달에 한두 번도 제대로 못 본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독 서비스들이 늘어갈수록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지출이 엄청 늘어난다. 서비스 한두 개를 사용할 때는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는 돈들이 모이다 보면 꽤나 많은 지출로 다가온다.

 잘 쓰면 좋은 구독 경제, 하지만......

구독 서비스들이 점점 늘어가면서 지출되는 돈도 늘어가고 있다. 저렴하다고 생각하며 하나씩 늘린 구독 서비스들이 나의 통장을 좀먹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해약을 하면 발생하는 위약금 등도 문제가 되고 있다. 앞으로 구독 경제는 지금보다 더 보편화되어 점점 소유의 개념이 희박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이득보다는 잃는 것이 더 많지 않은가 생각해 봐야 할 때다. 자신에게 뭐가 가장 필요한 것인지 생각하고 불필요한 것들을 줄여야 한다. 효율적인 구독을 하는 똑똑한 소비자가 되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