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도
-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2년 전보다 11.3% 증가한 31.8%임
- 식량안보, 국가 안보, 먹거리 위생, 자연재해, 건축물 및 시설물 위험과 관련해서는 안전하다는 응답이 높음
- 개인정보 유출, 신종질병, 정보 보안, 교통사고, 화재 등은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이 높음
2. 사회의 안전상태 변화
- 5년 전보다 안전해졌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2년 전보다 11.1% 증가한 38.8%임
- 5년 후 우리 사회가 현재보다 안전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39.1%, 위험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21.9%
- 안전해질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10대와 40대가 가장 높고, 위험해질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60세 이상이 가장 높음
3.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
-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은 신종 질병(32.8%), 경제적 위험(14.9%), 범죄(13.2%) 순임
- 남녀 모두 신종질병이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이라 생각하며, 그다음 불안 요인으로 남자는 경제적 위험, 여자는 범죄를 꼽음
4. 야간 보행의 안전도
- 13세 이상 인구 3명 중 1명은 야간 보행 시 불안하다고 느낌
- 특히 여자는 2명 중 1명이 야간 보행 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음
- 연령대가 낮을수록 불안하다고 느끼는 비중이 높음
- 야간 보행이 불안한 이유로 신문, 뉴스 등에서 사건, 사고를 접해서 그렇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음
5. 공공질서 준수 수준 및 재난, 긴급상황 시 대처 수준
- 공공질서 준수 수준은 모든 부문에서 2년 전보다 크게 향상됨
- 운전자 교통질서, 금연구역 준수 부문 등은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음
- 재난이나 긴급상황 발생 시 행동 요령 인지도는 모든 부문에서 2년 전보다 증가함
2020년 사회 조사 결과는 통계청 자료를 참고해서 작성 하였습니다.
자세한 자료는 통계청에 들어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